Tarikh-i Jahangushay

http://dbpedia.org/resource/Tarikh-i_Jahangushay an entity of type: Thing

تاريخ جهانكشاى هو كتاب تاريخ فارسي من تصنيف عطاء ملك الجويني (المتوفى نحو 683 هـ). أٌلف نحو سنة 658 هـ. ويؤرخ الكتاب للحقبة المغولية في فارس إضافة إلى دور الإسماعيليين. وقد طبع الكتاب ضمن سلسلة أوقاف جب التذكارية. rdf:langString
『世界征服者の歴史』(せかいせいふくしゃのれきし、ペルシア語: تاريج جهانگشای Ta'rīkh-i Jahān-gushāy)とは、『集史』などと並び、モンゴル帝国を語る上で重要な歴史書。モンゴル帝国の政治家・歴史家のジュヴァイニー(ジュワイニー)によって1260年に完成された。全3巻。原名はペルシア語でタリーヒ・ジャハーン・グシャー(イー)(Tārīkh-i Jahān-gushā(ī))という。 1252年、のちにイルハン朝を創設するフレグの命令でモンゴル帝国の首都カラコルムのモンケの宮廷に派遣されたジュヴァイニーは、モンゴル帝国の広大さに衝撃を受けるとともに、その成立までの過程に関心を抱いた。そして友人からの勧めもあり、モンゴル帝国成立に至る歴史書の執筆を始めたのであった。途中、バグダードの戦いへの参戦とバグダード陥落後のバグダード太守任命などを経て、1260年に完成した。 rdf:langString
世界征服者史,是13世紀伊朗伊兒汗國歷史家阿塔·馬里克·志費尼的著作,是蒙古帝國征戰的詳細歷史記載,也被認為是波斯文學的無價之寶。 這本書也是蒙古人入侵他的祖國伊朗的記載,成吉思汗軍隊在1219年迅速掠過塔中亞絲綢之路上的成熟城市(包括訛答剌,布哈拉,和撒馬爾罕),以及連續的戰役,直到成吉思汗在1227年去世,再寫至1260年代。 他的著作有時會誇大,因為他估計蒙古軍隊的兵力為700,000人,而其他方面的估計則在105,000至130,000之間。他的描述通常是從一種戲劇性的角度來寫的,然而和蒙古秘史與史集一樣,志費尼的著作是研究蒙古帝國歷史非常寶貴的資源。 rdf:langString
Tārīch-i Dschahānguschāy (persisch تاريخ جهانگشاى, DMG Tārīḫ-i Ǧahāngušāy, ‚Geschichte des Welteroberers [d. i. Dschingis Khan]‘) ist ein von dem persischen Gelehrten 'Ala ud-Dīn Atā-Mulk Dschuwainī (1226–1283; علاءالدين عطا ملك جويني; manchmal auch Ǧuwaynī) verfasster detaillierter historischer Bericht, der die Eroberung Persiens durch die Mongolen Dschingis Khan, Hülegü und die Ilchane beschreibt, und stellt ein wertvolles Werk persischer Literatur dar. rdf:langString
Tārīkh-i Jahāngushāy (Persian: تاریخ جهانگشای "The History of The World Conqueror") or Tārīkh-i Jahāngushāy-i Juwaynī (تاریخ جهانگشای جوینی) is a detailed historical account written by the Persian Ata-Malik Juvayni describing the Mongol, Hulegu Khan, and Ilkhanid conquest of Persia as well as the history of Isma'ilis. It is considered an invaluable work of Persian literature. Juvayni's descriptions are, however, a very valuable resource for contemporary Mongol history, along with the work of Rashid al-Din, and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rdf:langString
세계정복자의 역사(페르시아어: تاریخ جهانگشای Tārīkh-i Jahāngushāy, 또는 페르시아어: تاریخ جهانگشای جوینی Tārīkh-i Jahāngushāy-i Juwaynī)는 페르시아의 아타 말릭 주베이니가 저술한 역사 기록으로, 몽골 제국, 훌라구 칸, 일 칸국의 페르시아 정복과 이스마일파의 역사를 다루고 있으며, 페르시아 문학사에서 귀중한 작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한국에 소개될 때는 세계정복자의 역사 또는 세계정복자사로 번역되기도 한다. 주베이니의 조국이기도 했던 이란에 대한 몽골 제국의 침략이 있었던 1219년 칭기즈 칸의 몽골 군대가 휩쓸었던 타지키스탄의 유목민 부족과 , 부하라, 사마르칸트 등 실크 로드의 주요 도시들의 생존자들의 증언과, 1227년 칭기즈 칸이 사망할 때까지 이어졌던 전쟁들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또한 아사신파라고도 불리는 이스마일파가 훌라구의 몽골 제국군에 의해 격파되는 1256년까지의 몽골족의 역사뿐만 아니라 몽골족에 멸망당하고 흡수된 호라즘 제국과 카라 키타이(서요)의 역사도 다루고 있다. rdf:langString
rdf:langString تاريخ جهانكشاى
rdf:langString Tārīch-i Dschahānguschāy
rdf:langString 세계정복자의 역사
rdf:langString 世界征服者の歴史
rdf:langString Tarikh-i Jahangushay
rdf:langString 世界征服者史
xsd:integer 2472784
xsd:integer 1124937414
rdf:langString تاريخ جهانكشاى هو كتاب تاريخ فارسي من تصنيف عطاء ملك الجويني (المتوفى نحو 683 هـ). أٌلف نحو سنة 658 هـ. ويؤرخ الكتاب للحقبة المغولية في فارس إضافة إلى دور الإسماعيليين. وقد طبع الكتاب ضمن سلسلة أوقاف جب التذكارية.
rdf:langString Tārīch-i Dschahānguschāy (persisch تاريخ جهانگشاى, DMG Tārīḫ-i Ǧahāngušāy, ‚Geschichte des Welteroberers [d. i. Dschingis Khan]‘) ist ein von dem persischen Gelehrten 'Ala ud-Dīn Atā-Mulk Dschuwainī (1226–1283; علاءالدين عطا ملك جويني; manchmal auch Ǧuwaynī) verfasster detaillierter historischer Bericht, der die Eroberung Persiens durch die Mongolen Dschingis Khan, Hülegü und die Ilchane beschreibt, und stellt ein wertvolles Werk persischer Literatur dar. Dieser Bericht über die mongolischen und turko-tatarischen Invasionen seines Heimatlandes Iran, der auf Berichten von Überlebenden beruht, ist eine der Hauptquellen für den raschen Vorstoß von Dschingis Khans Streitkräften durch die nomadischen Stämme Zentralasiens und die befestigten Städte der Seidenstraße, inklusive Otrar, Buchara und Samarkand im Jahr 1219, sowie nachfolgender Feldzüge bis zu Dschingis Khans Tod im Jahr 1227 und darüber hinaus. Manchmal übertreibt er, zum Beispiel wenn er die Stärke der mongolischen Streitkräfte auf 700.000 Mann schätzt, wohingegen andere Berichte die Zahl zwischen 105.000 und 130.000 angeben. Seine Beschreibungen sind oft aus einer Empfindung des Dramas verfasst: vom Fall der Assassinen-Bergfestung Maymun-Diz im November 1256, bei deren Belagerung er dabei war, beschreibt er die Auswirkungen des Trebuchet-(Katapult-)Bombardements auf die Verteidiger auf den Zinnen: „Die ersten Steine, die von ihnen abgefeuert wurden, zerbrachen das Trebuchet der Verteidiger und viele wurden darunter zermalmt. Furcht vor den Pfeilen der Armbrustschützen überkam sie, so dass sie in völlige Panik gerieten und aus Schleiern Schilde zu machen versuchten [d. h. sie gaben ihr Bestes, um sich noch mit einer sehr unzulänglichen Ausrüstung zu verteidigen]. Einige die auf Türmen standen krochen in ihrer Angst wie Mäuse in Löcher oder flohen wie Eidechsen in Felsspalten.“ Zusammen mit Raschid ad-Dins Dschami' at-tawarich und der mongolisch/chinesischen Version der Geheimen Geschichte der Mongolen sind Dschuwainīs Beschreibungen jedoch eine sehr wertvolle Quelle für die mongolische Geschichte der damaligen Zeit. Eine seiner überzeugendsten Beschreibungen ist die der mongolischen Jagd oder nerge als eine militärische Übung für die nomadischen Mongolen. In einem nerge treiben die Streitkräfte alle Tiere einer großen Region zusammen, um vor dem Einbruch des Winters zu Trockenfleisch zu gelangen. Zur Zeit von Dschingis Khan wurde der nerge in eine Disziplinübung umgeformt, mit schweren Strafen für die Kommandeure von Gruppen aus mehreren zehn, hundert oder tausend Leuten, die Tiere entfliehen ließen. Einmal umzingelt, wurden die Tiere unbarmherzig massakriert, zuerst vom Khan, dann von den Prinzen, und schließlich, auf Befehl, von den Streitkräften. Dies geschah, um für die Skrupellosigkeit mongolischer Angriffe auf befestigte menschliche Ansiedlungen ein Vorbild zu schaffen. Vieles von der Skrupellosigkeit in diesem Bericht mag jedoch übertrieben worden sein, möglicherweise weil es kein Stigma im mongolischen Ethos gegen das Töten von Widerständlern gab. Zum Beispiel wurden nach dem Fall von Merw im heutigen Turkmenistan die Menschen zusammengetrieben und unter den Soldaten in Zehner-, Hunderter- und Tausendergruppen verteilt, und ein jeder in der verbleibenden mongolischen Armee wurde mit der Hinrichtung von „drei- bis vierhundert Menschen“ beauftragt. Es besteht jedoch kein Zweifel, dass diese Art von Terror Teil der mongolischen Kriegführung war.
rdf:langString Tārīkh-i Jahāngushāy (Persian: تاریخ جهانگشای "The History of The World Conqueror") or Tārīkh-i Jahāngushāy-i Juwaynī (تاریخ جهانگشای جوینی) is a detailed historical account written by the Persian Ata-Malik Juvayni describing the Mongol, Hulegu Khan, and Ilkhanid conquest of Persia as well as the history of Isma'ilis. It is considered an invaluable work of Persian literature. This account of the Mongol invasions of his homeland Iran, written based on survivor accounts, is one of the main sources on the rapid sweep of Genghis Khan's armies through the nomadic tribes of Tajikistan and the established cities of the Silk Road including Otrar, Bukhara, and Samarkand in 1219, and successive campaigns until Genghis Khan's death in 1227 and beyond. His writing is sometimes inflated, as when he estimates the strength of the Mongol army at 700,000, against other accounts that put the number between 105,000 and 130,000. His descriptions are often written from a sense of drama: of the fall of Assassin castle Maymun-Diz in November 1256, where he was present at the siege, he describes the effect of trebuchet (catapult) bombardment on the battlements: The first stones which were discharged from them broke the defenders' trebuchet and many were crushed under it. Fear of the quarrels from the crossbows overcame them so that they were in a complete panic and tried to make shields out of veils [i.e. they did best to defend with very indadequate equipment.] Some who were standing on towers crept in their terror like mice into holes or fled like lizards into the crannies of the rocks. Juvayni's descriptions are, however, a very valuable resource for contemporary Mongol history, along with the work of Rashid al-Din, and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One of his convincing descriptions is that of the Mongol hunt or as an army training exercise for the nomadic Mongols. In a nerge the whole army rounded up all the animals over a large region, in order to obtain dried meat before the onset of winter. In the time of Genghis Khan, the nerge was converted into an exercise in discipline with severe punishments (the Yasa/Jasa/Zasagh is without respect of persons and according to the author Mirhond enjoins corporal punishment without respect of persons for those who allow animals to escape) for commanders of tens, hundreds, or thousands, who let animals escape. Once rounded up, the animals were ruthlessly massacred, first by the Khan, then by princes, and finally, only after so commanded, by all the army. This was to form a model for the ruthlessness of Mongol attacks on well-established human settlements. The painting of Khubilai Khan and his Khatun Chabi who was childless however would show an average hunt with slow-moving horses and watching for quarry. The sadistic scene envisioned by Juvaini wherein crowded animals of all types seek to flee, seems too close to the promised biblical Day of Judgement, since lions would have attacked oxen. Nonetheless it is likely that Hulagu Khan and his Christian Khatun Doqez increased hunting due to their Latin allies, who also may have impeded Mongol victory at Ain Jalut.An account of the tragic failure of a Chinese student - (Jiang Rong: "The Wolf") - to save a wild wolf of a type formerly hunted by the historical Mongol people and their descendants still today, would indicate wolves were targeted by such hunts as traditional methods of the ravaging wolves in imminent danger of extinction were described. Snow leopards and others were also likely to have been hunted.It is reported in "Mongol Warrior 1200-1350" by Stephen Turnbull and Wayne Reynolds that the Mongols ate horse milk powder with water, around 250 grammes a day although an account they quote mentions they took 4.5 kg along for an expedition, and claims they hunted on campaign, such as digging around for marmots, it also said they ate horse meat (it is known that the wild Przewalski horses were eaten which contributed to their extinction, but that may have been due to food shortage and was later than the period of the historical Mongols when possibly even these horses were some of them still domestic), on the other hand they also drank blood from their horses by temporarily opening a vein when in shortage. However it is also stated that they failed at times to prevent their horses from dying of hunger.However, William of Rubruck, reports a more moderate but identical style of hunting specifically of the Tatars, thus Juvaini could still be exaggerating. After the fall of Merv, the people were rounded up and distributed among the soldiers in tens, hundreds and thousands, and each man in the remaining Mongol army was assigned the execution of "three to four hundred people."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this type ofsavagery was part of the terror spread by the Mongol army.
rdf:langString 세계정복자의 역사(페르시아어: تاریخ جهانگشای Tārīkh-i Jahāngushāy, 또는 페르시아어: تاریخ جهانگشای جوینی Tārīkh-i Jahāngushāy-i Juwaynī)는 페르시아의 아타 말릭 주베이니가 저술한 역사 기록으로, 몽골 제국, 훌라구 칸, 일 칸국의 페르시아 정복과 이스마일파의 역사를 다루고 있으며, 페르시아 문학사에서 귀중한 작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한국에 소개될 때는 세계정복자의 역사 또는 세계정복자사로 번역되기도 한다. 주베이니의 조국이기도 했던 이란에 대한 몽골 제국의 침략이 있었던 1219년 칭기즈 칸의 몽골 군대가 휩쓸었던 타지키스탄의 유목민 부족과 , 부하라, 사마르칸트 등 실크 로드의 주요 도시들의 생존자들의 증언과, 1227년 칭기즈 칸이 사망할 때까지 이어졌던 전쟁들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또한 아사신파라고도 불리는 이스마일파가 훌라구의 몽골 제국군에 의해 격파되는 1256년까지의 몽골족의 역사뿐만 아니라 몽골족에 멸망당하고 흡수된 호라즘 제국과 카라 키타이(서요)의 역사도 다루고 있다. 주베이니의 저작은 때때로 과장되어 있기도 한데, 예를 들어 몽골군의 전력이 70만 대군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는 그의 기록은 몽골군의 실제 전력을 10만 5천 명에서 13만 명으로 추산하는 다른 기록들과는 서로 상충되고 있다. 또한 그의 묘사는 종종 드라마틱한 느낌을 띠기도 하는데, 1256년 11월 그가 참전해 목격한 아사신파의 성 메이문-지즈(Maymun-Diz)에 대한 공성전 당시 그는 트레뷰셋 투석기 공격 장면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그들이 발사한 첫 번째 돌들은 수비수들의 투구를 깨부수었고 많은 돌들이 그 아래로 부서져 내렸다. 석궁을 쏘는 전투에 대한 두려움이 그들을 짓눌러 그들은 완전히 공포에 떨었고, 베일을 가져다 방패를 삼으려고 했다. (즉, 그들은 매우 불충분한 장비로 방어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탑 위에 서 있던 어떤 이들은 쥐새끼처럼 공포에 질린 채 구멍으로 기어들거나 도마뱀처럼 바위 틈으로 도망쳤다. 그러나 주베이니의 기록은 라시드웃딘의 저작이나 원조비사와 함께 현대에 몽골 제국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주베이니는 몽골 제국의 요직을 역임한 그의 할아버지나 아버지처럼 몽골 궁정의 핵심 구성원과 접촉할 수 있었고, 몽골 궁정의 생생한 모습을 기록할 수 있었다. 그의 설득력 있는 묘사 중 하나는 유목민인 몽골인의 군대 훈련으로서 몽골의 사냥 또는 네지르(nerge, 대수렵)에 대한 묘사이다. 네지르에서 모든 군대는 겨울이 시작되기 전에 말린 고기를 얻기 위해 넓은 지역에 있는 모든 동물들을 잡았다. 칭기즈 칸 시대에는 네지르(대수렵)는 엄한 처벌을 수반하는 전투 훈련으로 전환되었는데(몽골 제국의 법률인 에케 자삭은 처벌에 있어 신분의 차이를 두지 않았으며, 역사가 미르혼드Mirhond에 따르면 사냥하면서 동물을 탈출하도록 허용한 자에 대해 신분을 가리지 않고 체벌을 가하였다) 사냥 도중 짐승을 놓친 십호, 백호, 천호장들은 처벌되었다. 그리고 일단 사냥된 동물들은 무자비하게 도축되었는데, 처음에는 칸에 의해, 다음에는 왕자들에 의해,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군에 의해, 그렇게 명령된 후에야 도살되었다. 이것은 잘 확립된 인간 정착지에 대한 몽골의 무자비한 공격의 모델이 될 것이었다. 그러나 아이가 없는 쿠빌라이 칸과 그의 카툰 차비의 그림에서는 느리게 움직이는 말들과 쫓기는 사냥감들을 관찰하며 평균적인 사냥 모습을 보여준다. 본서에서 주바이니가 상상한 가학적인 장면은 모든 종류의 동물들이 사람을 피해 도망치고 있는 것으로, 이는 성경에서 말하는 심판의 날의 장면에서 사자가 황소를 사냥하는 장면과도 비슷하다. 다만 일 칸국의 훌라구 칸과 그의 아내이자 기독교(네스토리우스파) 신자였던 카툰(왕비) 도케즈가 훗날 아인 잘루트에서의 몽골의 승리를 방해했을 가능성이 있는 라틴인 동맹국들을 위해서 사냥 규모를 늘렸을 가능성도 있다. 중국의 소설가 지앙룽(姜戎)의 장편 소설 《늑대 토템》(狼图腾)에 등장하는 중국인 학생 첸젠이 과거의 역사적 몽골인들과 그 후손들이 사냥한 것과 같은 종(種)일 야생 늑대를 끝내 구해내지 못한 비극적인 실수에 대한 묘사는, 멸종 위기에 처한 늑대들이 파괴적인 늑대들에 대한 전통적 묘사와 같은 사냥들의 표적이 되었음을 나타낸다. 눈표범과 다른 종들도 사냥을 당했을 가능성이 있다. 《몽골의 전사들 1200-1350》(Mongol Warrior 1200-1350)에서 스티븐 턴불(Stephen Turnbull)과 웨인 레이놀즈(Wayne Raylones)는 몽골인들이 하루에 약 250그램의 말젖을 물에 타서 마셨고, 원정을 위해 4.5kg의 식량을 소지했으며, 마못을 파헤치는 등 사냥 작전을 벌였고, 그들은 말고기를 먹었고(이 점이 프르제발스키 호스라 불리는 몽골 야생마의 멸종에 기여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것은 아마도 식량 부족 때문이었을지도 모르며, 이 말들 가운데 일부는 몽골의 역사 시대보다는 훨씬 이후에 등장했을 것이다) 또한 말의 정맥에서 피를 내어 마시기도 했는데, 때때로 말이 굶주려 죽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루브럭의 윌리엄(William of Rubruck)은 타타르족에 대한 좀 더 온건하지만 동일한 방식의 사냥을 보고하고 있기 때문에, 주베이니의 기록은 여전히 과장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실크 로드의 요충지였던 메르브(Merv)가 함락된 뒤, 도시 주민들은 모두 성 밖으로 내몰려서 기술자와 노예를 제외하고 남녀노소 구별 없이 십호장, 백호장, 천호장 그리고 나머지 몽골 군인과 징집병들에게 300명에서 400명씩 할당해 모두 그 자리에서 도륙해버렸다. 주베이니에 의하면 이때 메르브에서 살해된 사람의 숫자가 130만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물론 이는 상당한 과정임에 틀림없으나 무수한 사람들이 희생된 것만은 사실이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야만 행위가 몽골군에 의해 확산된 테러의 일부였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의 저서는 다른 어느 지역보다 중동에서 일어난 사건을 특히 많이 기록했지만, 몽골리아에서 내려온 정책이 어떻게 서남아시아에 영향을 끼쳤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애쓴 흔적이 뚜렷하다. 아쉽게도 주베이니의 서술은 1256년에서 멈추었고 자신이 훗날 총독으로 근무했던 바그다드를 몽골이 파괴한 것에 대해서는 은근히 모르는 척하고 있다.
rdf:langString 『世界征服者の歴史』(せかいせいふくしゃのれきし、ペルシア語: تاريج جهانگشای Ta'rīkh-i Jahān-gushāy)とは、『集史』などと並び、モンゴル帝国を語る上で重要な歴史書。モンゴル帝国の政治家・歴史家のジュヴァイニー(ジュワイニー)によって1260年に完成された。全3巻。原名はペルシア語でタリーヒ・ジャハーン・グシャー(イー)(Tārīkh-i Jahān-gushā(ī))という。 1252年、のちにイルハン朝を創設するフレグの命令でモンゴル帝国の首都カラコルムのモンケの宮廷に派遣されたジュヴァイニーは、モンゴル帝国の広大さに衝撃を受けるとともに、その成立までの過程に関心を抱いた。そして友人からの勧めもあり、モンゴル帝国成立に至る歴史書の執筆を始めたのであった。途中、バグダードの戦いへの参戦とバグダード陥落後のバグダード太守任命などを経て、1260年に完成した。
rdf:langString 世界征服者史,是13世紀伊朗伊兒汗國歷史家阿塔·馬里克·志費尼的著作,是蒙古帝國征戰的詳細歷史記載,也被認為是波斯文學的無價之寶。 這本書也是蒙古人入侵他的祖國伊朗的記載,成吉思汗軍隊在1219年迅速掠過塔中亞絲綢之路上的成熟城市(包括訛答剌,布哈拉,和撒馬爾罕),以及連續的戰役,直到成吉思汗在1227年去世,再寫至1260年代。 他的著作有時會誇大,因為他估計蒙古軍隊的兵力為700,000人,而其他方面的估計則在105,000至130,000之間。他的描述通常是從一種戲劇性的角度來寫的,然而和蒙古秘史與史集一樣,志費尼的著作是研究蒙古帝國歷史非常寶貴的資源。
xsd:nonNegativeInteger 6182

data from the linked data clo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