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gwangsa
http://dbpedia.org/resource/Sogwangsa an entity of type: Thing
Sŏgwang-sa is a Korean Buddhist temple located in Sŏlbong-ri in Kosan County, Kangwon Province, North Korea. Once one of Korea's largest Buddhist temples, the complex was mostly destroyed by US bombing in 1951, and today it lies in ruins; however, it is slated to be reconstructed in coming years. It is listed as National Treasure #94
rdf:langString
釋王寺(朝鮮語:석왕사)是位於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江原道高山郡之著名佛寺。
rdf:langString
석왕사(釋王寺)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슭에 있는 사찰이다. 고려 말 또는 조선 초기에 건립되었다.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 동안에는 함경남도 안변군에 속해 있었다. 광복 당시의 행정구역은 함남 안변군 석왕사면 사기리(沙器里)였다. 그러나 1946년 안변이 강원도로 편입되고 고산군이 안변군에서 분리되는 등 행정구역 변동이 일어나면서, 강원도 고산군 고산리에 속하게 되었다. 석왕사에는 조선 태조 이성계와 관련된 이야기가 전한다. 전설에 따르면 이성계가 젊었을 때 안변을 지나다가 석왕사 인근에서 잠을 자게 되었다. 꿈 속에서 이성계는 서까래 세 개를 짊어졌고, 꽃이 떨어지고 거울이 깨진 것을 보았다. 꿈에서 깨어난 뒤 한 고승에게 해몽을 부탁하니 서까래 세 개를 등에 진 모습은 임금 왕(王) 글자를 상징한다며, 꽃이 떨어지면 열매를 맺고 거울이 깨지면 소리가 나므로 왕이 될 징조라고 풀어 주었다. 해몽을 해준 이 승려는 지금의 석왕사 자리의 토굴에서 수도하고 있던 무학이라고 전한다. 이성계는 왕이 된 뒤 무학과 만난 장소에 절을 짓고 임금이 될 꿈을 꾼 곳이라 하여 석왕사라고 불렀다는 이야기다.
rdf:langString
rdf:langString
석왕사 (고산군)
rdf:langString
Sogwangsa
rdf:langString
釋王寺
xsd:integer
21541951
xsd:integer
1068488393
rdf:langString
north
rdf:langString
Sŏgwangsa
rdf:langString
InternetArchiveBot
<second>
1930.0
rdf:langString
May 2018
rdf:langString
yes
rdf:langString
석왕사
rdf:langString
Seogwangsa
rdf:langString
Shakuoji.png
rdf:langString
Sŏgwang-sa is a Korean Buddhist temple located in Sŏlbong-ri in Kosan County, Kangwon Province, North Korea. Once one of Korea's largest Buddhist temples, the complex was mostly destroyed by US bombing in 1951, and today it lies in ruins; however, it is slated to be reconstructed in coming years. It is listed as National Treasure #94
rdf:langString
석왕사(釋王寺)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슭에 있는 사찰이다. 고려 말 또는 조선 초기에 건립되었다.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 동안에는 함경남도 안변군에 속해 있었다. 광복 당시의 행정구역은 함남 안변군 석왕사면 사기리(沙器里)였다. 그러나 1946년 안변이 강원도로 편입되고 고산군이 안변군에서 분리되는 등 행정구역 변동이 일어나면서, 강원도 고산군 고산리에 속하게 되었다. 석왕사에는 조선 태조 이성계와 관련된 이야기가 전한다. 전설에 따르면 이성계가 젊었을 때 안변을 지나다가 석왕사 인근에서 잠을 자게 되었다. 꿈 속에서 이성계는 서까래 세 개를 짊어졌고, 꽃이 떨어지고 거울이 깨진 것을 보았다. 꿈에서 깨어난 뒤 한 고승에게 해몽을 부탁하니 서까래 세 개를 등에 진 모습은 임금 왕(王) 글자를 상징한다며, 꽃이 떨어지면 열매를 맺고 거울이 깨지면 소리가 나므로 왕이 될 징조라고 풀어 주었다. 해몽을 해준 이 승려는 지금의 석왕사 자리의 토굴에서 수도하고 있던 무학이라고 전한다. 이성계는 왕이 된 뒤 무학과 만난 장소에 절을 짓고 임금이 될 꿈을 꾼 곳이라 하여 석왕사라고 불렀다는 이야기다. 조선의 시조와 관계가 깊은 절이기 때문에 조선 시대에는 왕실의 보호를 받으며 건물 수십 동이 세워지는 등 번성했으며, 일제 강점기에도 31본산의 하나로 인근 귀주사와 함께 함경남도 지역의 본산 역할을 했다. 한국 전쟁 때 주요 건물이 대부분 파괴되어 불이문(不二門) 등 일부만 남게 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고, 2008년에는 복원 계획도 발표되었고 그 계획에 따라 복원되었다.
rdf:langString
釋王寺(朝鮮語:석왕사)是位於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江原道高山郡之著名佛寺。
xsd:nonNegativeInteger
5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