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 Byung-hee
http://dbpedia.org/resource/Hong_Byung-hee an entity of type: Thing
Hong Byung-hee is a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chemist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ng has developed the method of synthesizing large-scale graphene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which triggered chemical researches toward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graphene. His papers reporting the large-scale growth of graphene have been intensively cited by many graphene researchers, showing the originality and the significance of his research.
rdf:langString
홍병희는 컬럼비아대학교 김필립교수(현 하버드대 교수) 연구실에서 연구원으로 재직당시(2004~2007)에서 탄소나노튜브와 그래핀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후 성균관대에 조교수로 임용된 후 그래핀 소재를 산업에 적용이 가능한 크기와 품질로 합성하는 방법을 세계최초로 제시하여 2009년 네이쳐지에 보고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 과학역사상 최초로 단일논문 3,000번 인용횟수를 넘어섰으며(조선일보 2014.9.23. “단일 논문 인용 3000번 넘은 홍병희”), 2009년 이후 출판된 논문 중 세계 3위의 인용도를 기록하고 있다.(한국경제 2012.1.9. “홍병희 서울대교수-그래핀연구 세계최고. 또다른 나노소재 찾는중”). 이후 그래핀을 연속으로 대량합성이 가능한 방법을 고안하고 터치스크린에 적용하여 네이쳐 나노테크놀로지에 보고하였으며, 노벨심포지엄에 초청되어 해당 업적을 발표하였다.[1] 이러한 홍병희의 업적은 국내과학자중 유일하게 노벨박물관에 전시된 바 있다. 홍병희는 2D Materials라는 2차원 소재분야 국제 저널의 창립 편집자이다.
rdf:langString
rdf:langString
Hong Byung-hee
rdf:langString
홍병희
rdf:langString
Hong Byung-hee
rdf:langString
Hong Byung-hee
xsd:integer
42358324
xsd:integer
1094549676
rdf:langString
Professor, Department of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rdf:langString
Mar 25, 1971
rdf:langString
Hong in 2014
rdf:langString
Department of Chemistry
rdf:langString
Hong Byung-hee is a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chemist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ng has developed the method of synthesizing large-scale graphene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which triggered chemical researches toward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graphene. His papers reporting the large-scale growth of graphene have been intensively cited by many graphene researchers, showing the originality and the significance of his research. Graphene, the world thinnest material combines seemingly mutually exclusive material properties, which are of great importance for the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 market: it is at the same time both the best electric conductor we know and yet optically almost transparent; it is the world's strongest material and yet extremely flexible/bendable. Since its discovery in 2004 it has revolutionized our understanding of two dimensional crystals and their potential for device applications. The rapid development of graphene research and its impact on material science culminated Nobel Prize in Physics in 2010 for its discovery. Hong's contribution in large-area graphene synthesis has been recognized by Nobel committee, which is being exhibited in Nobel Museum. The unique electronic properties of this two dimensional carbon sheet are also of great interest to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leading high tech companies such as IBM, SAMSUNG, LG, Nokia, Google and Apple. Here, its potential for ultrafast transistors, energy storage and in particular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for, e.g. foldable touch screen panels generate most of the excitement. From a purely application point of view the key breakthrough took place in 2010: The founder of GSI have invented an industry compatible growth (CVD) and transfer (Roll-to-Roll) process enabling the large scale synthesize of graphene for commercial applications. The related key patents have been registered in Korea, US, Japan, and China. Hong is also the founder of GSI pioneered the large-scale synthesis of graphene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which triggered chemical research towar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graphene. His first report on CVD synthesis of graphene (Nature 2009) has recorded the world highest citations in chemistry among the papers published since 2009 (roughly 5000 times). One year later, he developed the synthesis of ultra-large graphene based on roll-to-roll methods and its application to flexible touch screens (Nature Nanotechnology. 2010), which is believed to be the first demonstration of application of graphene materials in practical electronic devices. For this contribution, he was invited to give a talk in the Nobel Symposium on Graphene (2010). He made more than 90 patent applications on graphene synthesis and applications, which corresponds to the world 2nd graphene-related inventor. Hong's research has been highlighted by Bloomberg, Businessweek, BBC, CNBC, New York Times, Financial Times, Russia Today, MIT Technology Review, C&EN News (cover story), Physics Today, and Physics World. He is now acting as Scientific Advisory Committee member of €1 billion Graphene Flagship project together with 4 Nobel Laureates and as Scientific Advisory Member of Cambridge Graphene Center, UK. He is currently an Advisory Member for CTO of LG Electronics. He served as a member of R&D Strategy and Planning Committee for Korean National Graphene Commercialization Project.
rdf:langString
홍병희는 컬럼비아대학교 김필립교수(현 하버드대 교수) 연구실에서 연구원으로 재직당시(2004~2007)에서 탄소나노튜브와 그래핀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후 성균관대에 조교수로 임용된 후 그래핀 소재를 산업에 적용이 가능한 크기와 품질로 합성하는 방법을 세계최초로 제시하여 2009년 네이쳐지에 보고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 과학역사상 최초로 단일논문 3,000번 인용횟수를 넘어섰으며(조선일보 2014.9.23. “단일 논문 인용 3000번 넘은 홍병희”), 2009년 이후 출판된 논문 중 세계 3위의 인용도를 기록하고 있다.(한국경제 2012.1.9. “홍병희 서울대교수-그래핀연구 세계최고. 또다른 나노소재 찾는중”). 이후 그래핀을 연속으로 대량합성이 가능한 방법을 고안하고 터치스크린에 적용하여 네이쳐 나노테크놀로지에 보고하였으며, 노벨심포지엄에 초청되어 해당 업적을 발표하였다.[1] 이러한 공로로 2012년 미래창조 과학부 장관상인 ‘지식창조대상’을 수상하였고, 2011년 경암학술상 자연과학부문 최연소 수상, 2010년 1회 홍진기창조인상 과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우리나라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 그래핀 분야의 석학으로, 2010년 그래핀분야의 노벨상을 이끌어낸 장본인으로 인정받아, 2012년부터 지금까지 4명의 노벨상 수상자들과 함께 1.5조원이 투입되는 유럽연합 그래핀 플래그쉽 프로젝트를 이끌었고,[2] Archived 2017년 10월 16일 - 웨이백 머신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그래핀센터 자문위원도 수행하면서,[3] 2014년부터 차세대융합기술원 그래핀 융합기술센터를 이끌고 있다.[4] 홍병희가 교내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 2012년 창업한 그래핀스퀘어의 기술력은 비즈니스위크, 블룸버그 등 세계 언론에서 주목하고 있으며, 최근 KBS 다큐멘터리 “탄소, 소재혁명이 시작되다”에서 집중 조명되었고, Kotra의 지원 아래 실리콘밸리로의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디지털타임스 2015.11.16.“화학증착기술로 대량생산 길 열어 `그래핀 사업화` 수요 확보가 관건"). ‘그래핀스퀘어’는 지난 4년간 20여개국에 200만불 이상의 그래핀 소재와 합성장비를 수출하였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2차원 소재합성 분야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매일경제 2015.8.7.”실리콘반도체 뛰어넘는 `2 차원 물질` 확보…이르면 5년내 상용화“). 2015년에는 세계최초로 나노버블을 실시간으로 관찰하였으며(Nature Commnun. 연합뉴스 2015.2.7. “세상에서 가장 작은 나노공기방울 실시간 관찰 성공”), 이는 그래핀을 이용하여 액상의 물질을 초고해상도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로, 향후 바이오 분석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홍병희의 업적은 국내과학자중 유일하게 노벨박물관에 전시된 바 있다. 홍병희는 2D Materials라는 2차원 소재분야 국제 저널의 창립 편집자이다. 홍병희는 최근 그래핀 소재의 바이오메디컬 응용 산업화를 위해 '바이오그래핀'을 창업하고, 치매, 파킨슨병 등 난치병,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에 힘쓰고 있다.(Nature Nanotech. "Graphene quantum dots prevent α-synucleinopathy in Parkinson’s disease", '꿈의 신소재'로 파킨슨병·치매 치료 길 열리나 - YTN)
rdf:langString
Kwang S. Kim
xsd:nonNegativeInteger
8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