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o Jeok
http://dbpedia.org/resource/Heo_Jeok an entity of type: Thing
Heo Jeok (Korean: 허적, Hanja: 許積; 1610 – 11 May 11, 1680) was a politician during the Joseon Dynasty. He was the 124th and 125th Prime Minister of Korea (Yeonguijeong), in 1664, 1671, and 1674–1680. His pen name was Mukjae (묵재, 默齋) and Hyuong (휴옹, 休翁). He came from the Yangcheon Heo clan (양천 허씨, 陽川 許氏). He was the leader of the Southerners faction, and a rival of Song Siyeol.
rdf:langString
許 積(きょ せき、ホ・ジョク、허적、光海君2年(1610年) - 粛宗6年5月11日(1680年6月7日))は、李氏朝鮮後期の文臣・政治家・書家・画家。字は汝車、号は黙斎・休翁。諡号は粛憲。忠清道忠州に生まれた。本貫は陽川許氏。
rdf:langString
許積(朝鮮語:허적/許積;1610年-1680年5月11日),本貫,是韓國朝鮮王朝的文臣及政治人,詩人。陽川 字汝車,號默齋、休翁,諡號肅憲。1664年,1671年,1674年任議政府領議政及他的禮訟論爭時南人穩健派的領導人物。
rdf:langString
(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허적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허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다. 남인의 중진으로 남인 온건파의 지도자였으며 탁남의 영수였다. 1637년 문과에 급제한 후 호조판서, 형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지내고 의정부 영의정(수상)에 이르렀으며, 영의정을 세 번 역임하였다. 재정 고갈을 막기 위해 상평통보를 주조하였다. 제1차 예송논쟁이 일어나자 남인의 주요 논객으로 효종은 왕위를 계승했으므로 장남으로 봐야 된다며 3년설을 주장하며 서인들에 맞섰으며, 제2차 예송논쟁에서는 인선왕후를 맏며느리의 예로 1년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채택시키고 집권하였다. 1664년과 1671년, 1674년 의정부영의정을 지냈으며, 1674년 세 번째로 영의정에 재직 중에는 현종이 급서하면서 원상으로 정무를 주관했다. 서인 송시열, 김수항 등을 과격하게 비난하는 남인 소장파들을 나무라기도 했다.
rdf:langString
rdf:langString
Heo Jeok
rdf:langString
許積
rdf:langString
허적
rdf:langString
許積
rdf:langString
Heo Jeok
rdf:langString
Heo Jeok
xsd:date
1680-05-11
xsd:integer
35167582
xsd:integer
1035644678
xsd:integer
1610
rdf:langString
Joseon
xsd:date
1680-05-11
rdf:langString
Hong Myeong-ha
rdf:langString
Jeong Tae-hwa
rdf:langString
Kim Su-heung
rdf:langString
Jeong Chi-hwa
rdf:langString
Jeong Tae-hwa
rdf:langString
Kim Su-hang
rdf:langString
Kim Su-heung
xsd:integer
1667
xsd:date
1667-11-09
xsd:date
1671-06-19
xsd:date
1672-05-31
xsd:date
1674-04-25
xsd:date
1680-04-30
xsd:date
1664-09-03
xsd:date
1667-06-18
xsd:date
1668-05-08
xsd:date
1671-06-19
xsd:date
1673-09-06
xsd:date
1674-08-27
rdf:langString
Heo Jeok (Korean: 허적, Hanja: 許積; 1610 – 11 May 11, 1680) was a politician during the Joseon Dynasty. He was the 124th and 125th Prime Minister of Korea (Yeonguijeong), in 1664, 1671, and 1674–1680. His pen name was Mukjae (묵재, 默齋) and Hyuong (휴옹, 休翁). He came from the Yangcheon Heo clan (양천 허씨, 陽川 許氏). He was the leader of the Southerners faction, and a rival of Song Siyeol.
rdf:langString
(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허적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허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다. 남인의 중진으로 남인 온건파의 지도자였으며 탁남의 영수였다. 1637년 문과에 급제한 후 호조판서, 형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지내고 의정부 영의정(수상)에 이르렀으며, 영의정을 세 번 역임하였다. 재정 고갈을 막기 위해 상평통보를 주조하였다. 제1차 예송논쟁이 일어나자 남인의 주요 논객으로 효종은 왕위를 계승했으므로 장남으로 봐야 된다며 3년설을 주장하며 서인들에 맞섰으며, 제2차 예송논쟁에서는 인선왕후를 맏며느리의 예로 1년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채택시키고 집권하였다. 1664년과 1671년, 1674년 의정부영의정을 지냈으며, 1674년 세 번째로 영의정에 재직 중에는 현종이 급서하면서 원상으로 정무를 주관했다. 서인 송시열, 김수항 등을 과격하게 비난하는 남인 소장파들을 나무라기도 했다. 서인 송시열의 사형을 놓고 남인 내에서 여론이 갈라졌을 때 온건론을 폈으며, 강경파인 윤선도, 윤휴, 허목의 주장에 맞서 온건파인 탁남의 영수가 되었다. 이후 남인 강경파인 미수 허목과 미묘하게 갈등하였다. 1679년 안마와 을 하사받고 기로소에 들어갔으나 1680년 3월 할아버지 이 시호를 추증받은 것을 기념하면서, 왕실, 예조의 허락 없이 유악(기름천막)을 빌려쓴 것이 화가 되어, 그해 4월 서자 허견의 여러 가지 비행과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당했다. 1795년(정조 20년)에 정조의 특명으로 신원되었는데 이때 같은 남인인 채제공 등이 이를 반대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당색으로는 남인이었지만 서인 민광훈의 장모의조카이자 서인 중진인 민유중, 민정중의 외종숙이기도 했다.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자(字)는 여차(汝車), 호는 묵재(默齋) 또는 휴옹(休翁), 시호는 숙헌(肅憲)이다. 한강 정구, 장현광, 의 문인이다. 충청북도 충주시 출신이다.
rdf:langString
許 積(きょ せき、ホ・ジョク、허적、光海君2年(1610年) - 粛宗6年5月11日(1680年6月7日))は、李氏朝鮮後期の文臣・政治家・書家・画家。字は汝車、号は黙斎・休翁。諡号は粛憲。忠清道忠州に生まれた。本貫は陽川許氏。
rdf:langString
許積(朝鮮語:허적/許積;1610年-1680年5月11日),本貫,是韓國朝鮮王朝的文臣及政治人,詩人。陽川 字汝車,號默齋、休翁,諡號肅憲。1664年,1671年,1674年任議政府領議政及他的禮訟論爭時南人穩健派的領導人物。
xsd:nonNegativeInteger
4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