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 Ming Baochao
http://dbpedia.org/resource/Da_Ming_Baochao an entity of type: Thing
大明宝鈔(だいみんほうしょう、簡: 大明宝钞、繁: 大明寶鈔)とは中国の明王朝が発行した紙幣を指す。以後、宝鈔と略記する。1375年から発行された宝鈔は、歴史上で最大の紙幣とされている。 明の貨幣制度は前王朝の元を引き継いだ部分がありつつも、王朝を通じた統一的な貨幣政策は存在しなかった。明では小額の取引用として銅銭、高額取引用として宝鈔が発行された。中国では宋の時代から紙幣が使われていたが、宋の紙幣である交子や、元の紙幣である交鈔と異なり、明の宝鈔は臨時支出の手段として断続的に発行された。宝鈔と銅銭との固定レートは設定されていたが、価値を維持するための政策が不十分であり、価値が下落していった。
rdf:langString
The Da Ming Baochao (simplified Chinese: 大明宝钞; traditional Chinese: 大明寶鈔; pinyin: dà míng bǎo chāo) was a series of banknotes issued during the Ming dynasty in China. They were first issued in 1375 under the Hongwu Emperor. Although initially the Da Ming Baochao paper money was successful, the fact that it was a fiat currency and that the government largely stopped accepting these notes caused the people to lose faith in them as a valid currency causing the price of silver relative to paper money to increase. The negative experiences with inflation that the Ming dynasty had witnessed signaled the Manchus to not repeat this mistake until the first Chinese banknotes after almost 400 years were issued again in response to the Taiping Rebellion under the Qing dynasty's Xianfeng Emperor during
rdf:langString
대명보초(大明宝钞)는 중국 명(明) 왕조에서 발행되었던 지폐로, 명 왕조 270여 년에 걸쳐 통용된 유일한 지폐였다. 홍무(洪武) 8년(1375년)에 처음 제조되었다. 당시 구리의 부족을 겪고 있던 때에 홍무제는 홍무 7년(1374년)에 '초법(鈔法)'을 반포, 보초제거사(宝钞提举司)를 설치하고 그 아래에 초지(抄纸), 인초(印鈔) 2국(局)과 보초(宝钞), 행용(行用) 2고(庫)를 두었다. 이듬해부터 명의 중서성(中書省) 명의로 대명보초를 발행하기 시작하였다. 홍무 22년(1389년)에 명 조정은 또 다섯 종류의 작은 지폐를 발행했는데, 즉 10문(拾文), 20문(贰拾文), 30문(叁拾文), 40문(肆拾文), 50문(伍拾文)으로, 표면의 폭이 비교적 작았다. 영락 이후로도 대명보초에 새겨지는 연호는 홍무 연호로 유지되었고 민간에서 황금과 백은으로 거래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 뒤 명 왕조는 다시 지폐를 발행하지 않았다. 《옥경신담》(玉鏡新譚)에는 명의 희종(熹宗)이 자주 새로운 보초를 가지고 신하들에게 상으로 내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rdf:langString
大明宝钞是明朝官方发行的唯一纸币,该纸币贯行于明朝二百七十多年。明太祖洪武八年(1375年)始造。由于当时缺铜,于是明洪武七年颁布“钞法”,设宝钞提举司,其下再设抄纸、印钞二局和宝钞、行用二库。并于次年以中书省名义发行。 大明宝钞印框高约30厘米、宽约20厘米,是世界上面积最大的纸币。宝钞分六等:壹贯、五百文、四百文、三百文、二百文、一百文,一贯等于铜钱一千文或白银一两,四贯合黄金一两,票面上端為“大明通行寶鈔”六個漢字。初行宝钞时,一石米值钞一贯。 《明会典》记载:“以桑穰为料,其制方,高一尺,广六寸,质青色,外为龙文花栏,横题其额曰‘大明通行寶鈔’,其内上两旁复为篆文八字,曰‘大明宝钞 天下通行’。中图钱贯,十串为壹贯,其下云‘中书省奏准印造大明宝钞与铜钱通行使用,伪造者斩,告捕者赏银二百五十两,仍给犯人财产。’若伍佰文,则画钱文为五串,余如其制,而递减之。其等凡六:曰一贯,曰五百文、四百文、三百文、二百文、一百文。每钞一贯,准钱千文,银一两;四贯准黄金一两。” 洪武二十二年(1389年)朝廷又发行小钞5种,即拾文、贰拾文、叁拾文、肆拾文、伍拾文,票面幅面较小。永樂以后印行宝钞仍用洪武年号,且禁止民间用黃金、白银买卖交易。
rdf:langString
rdf:langString
Da Ming Baochao
rdf:langString
대명보초
rdf:langString
大明宝鈔
rdf:langString
大明宝钞
xsd:integer
58484031
xsd:integer
1083738218
rdf:langString
May 2019
rdf:langString
yes
rdf:langString
Sandrock relies in his paper heavily on the Ch'uan Pu T'ung Chih which is a work that contains a lot of fantasy banknotes designed to trick modern collectors, while his claims related to surviving specimens are based on more reliable modern sources. Note that no Later Zhou, Qara-Khitay, or Western Xia banknote has ever been recorded.
rdf:langString
大明宝钞
rdf:langString
大明寶鈔
rdf:langString
dà míng bǎo chāo
rdf:langString
The Da Ming Baochao (simplified Chinese: 大明宝钞; traditional Chinese: 大明寶鈔; pinyin: dà míng bǎo chāo) was a series of banknotes issued during the Ming dynasty in China. They were first issued in 1375 under the Hongwu Emperor. Although initially the Da Ming Baochao paper money was successful, the fact that it was a fiat currency and that the government largely stopped accepting these notes caused the people to lose faith in them as a valid currency causing the price of silver relative to paper money to increase. The negative experiences with inflation that the Ming dynasty had witnessed signaled the Manchus to not repeat this mistake until the first Chinese banknotes after almost 400 years were issued again in response to the Taiping Rebellion under the Qing dynasty's Xianfeng Emperor during the mid-19th century.
rdf:langString
대명보초(大明宝钞)는 중국 명(明) 왕조에서 발행되었던 지폐로, 명 왕조 270여 년에 걸쳐 통용된 유일한 지폐였다. 홍무(洪武) 8년(1375년)에 처음 제조되었다. 당시 구리의 부족을 겪고 있던 때에 홍무제는 홍무 7년(1374년)에 '초법(鈔法)'을 반포, 보초제거사(宝钞提举司)를 설치하고 그 아래에 초지(抄纸), 인초(印鈔) 2국(局)과 보초(宝钞), 행용(行用) 2고(庫)를 두었다. 이듬해부터 명의 중서성(中書省) 명의로 대명보초를 발행하기 시작하였다. 《대명회전》(大明会典)에 따르면 대명보초는 뽕나무 껍질을 재료로 사각의 모양에 높이가 약 30cm, 폭이 20cm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였다. 표면은 질청색으로 테두리에 용과 꽃무늬를 그렸는데 그 윗부분에 가로로 대명통행보초(大明通行寶鈔)라 쓰고 그 아래 좌우에 전서로 여덟 자 '대명보초 천하통행'(大明宝钞 天下通行)이라 세로로 썼다. 그 가운데에 돈꿰미를 그려 넣었는데 열 꿰미를 한 관으로 하였으며, 그 아래에 '중서성에서 아뢴 바에 준하여 대명보초를 찍었으니 돈과 함께 통행하여 사용하도록 할 것이요, 위조하는 자는 참수하고 고발하는 자는 상으로 은 250냥과 위조한 범인의 재산을 줄 것이다.'라고 썼다. 지폐는 6등급으로 분류되었는데 1관(貫), 500문(文), 400문, 300문, 200문, 100문으로, 1관은 동전 1,000문 혹은 백은 1냥과, 4관은 황금 1냥과 같은 액면가를 지녔다. 대명보초를 처음 발행할 때 쌀 한 섬이 보초 1관에 해당하였다. 홍무 22년(1389년)에 명 조정은 또 다섯 종류의 작은 지폐를 발행했는데, 즉 10문(拾文), 20문(贰拾文), 30문(叁拾文), 40문(肆拾文), 50문(伍拾文)으로, 표면의 폭이 비교적 작았다. 영락 이후로도 대명보초에 새겨지는 연호는 홍무 연호로 유지되었고 민간에서 황금과 백은으로 거래하는 것을 금지했다. 대명보초는 당시에 뽕나무 껍질로 만든 종이에 인쇄 제작했다. 뽕나무 껍질로 만든 종이인 상피지(桑皮紙)는 한피지(漢皮紙)라고도 해서 전적(典籍) 등의 서책을 제작하는 데에 널리 쓰였으며, 질적으로도 매우 두꺼운 것이었다.,홍무 13년(1380년) 도초법(倒钞法)을 세워서 다 닳은 보초를 새 보초로 바꿀 수 있게 허용하면서 대신 수수료를 내도록 하였다. 명 왕조 시대의 지폐는 지급만 할 뿐 수금을 받지 않았고, 경계를 구분하지도 않고, 헌 돈을 회수하지도 않았으며, 현대의 지불준비금과 같은 것이 전혀 없었다. 시중에 유통되는 보초가 갈수록 많아지고, 보초가 범람하면서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였다. 홍무 22년을 전후해서 대명보초의 가치는 올랐다가 내려갔다를 반복했는데, 강서, 복건 일대의 경우 2관의 대명보초로 겨우 동전 500문만 바꿀 수 있었다. 홍무 연간에 처음 발행할 당시 1관이 동전 1천 문 또는 백은 한 냥이었던 대명보초의 액면가는 영락제가 즉위했던 1402년에는 대명보초 1천 관이 백은 12냥, 금 2.5냥의 가치를 지닐 만큼 떨어져 있었다. 또한 영락(永樂) 2년(1404년) 한때 쌀 한 섬이 대명보초 1백 관까지 오르거나 영락 5년(1407년)에는 쌀 한 섬의 값이 보초 30관이었고 선덕(宣德) 초년에는 쌀값이 대명보초 50관에 해당했던 것이 선덕 7년(1432년)에는 대명보초 1관이 동전 5문 정도의 가치밖에 지니지 못하였다. 정통(正統) 9년(1444년) 쌀값은 마침내 보초 1백 관을 넘었으며, 대명보초는 통용 기능을 잃어 가득 쌓여 있어도 사람들이 외면하고 지나갈 정도였다. 정통 원년(1436년)에 명의 영종(英宗)은 금은령(禁銀令)을 폐지하였다. 정덕(正德) 연간에 대명보초는 사실상 폐지된 것이나 다름없었다. 그 뒤 명 왕조는 다시 지폐를 발행하지 않았다. 《옥경신담》(玉鏡新譚)에는 명의 희종(熹宗)이 자주 새로운 보초를 가지고 신하들에게 상으로 내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rdf:langString
大明宝鈔(だいみんほうしょう、簡: 大明宝钞、繁: 大明寶鈔)とは中国の明王朝が発行した紙幣を指す。以後、宝鈔と略記する。1375年から発行された宝鈔は、歴史上で最大の紙幣とされている。 明の貨幣制度は前王朝の元を引き継いだ部分がありつつも、王朝を通じた統一的な貨幣政策は存在しなかった。明では小額の取引用として銅銭、高額取引用として宝鈔が発行された。中国では宋の時代から紙幣が使われていたが、宋の紙幣である交子や、元の紙幣である交鈔と異なり、明の宝鈔は臨時支出の手段として断続的に発行された。宝鈔と銅銭との固定レートは設定されていたが、価値を維持するための政策が不十分であり、価値が下落していった。
rdf:langString
大明宝钞是明朝官方发行的唯一纸币,该纸币贯行于明朝二百七十多年。明太祖洪武八年(1375年)始造。由于当时缺铜,于是明洪武七年颁布“钞法”,设宝钞提举司,其下再设抄纸、印钞二局和宝钞、行用二库。并于次年以中书省名义发行。 大明宝钞印框高约30厘米、宽约20厘米,是世界上面积最大的纸币。宝钞分六等:壹贯、五百文、四百文、三百文、二百文、一百文,一贯等于铜钱一千文或白银一两,四贯合黄金一两,票面上端為“大明通行寶鈔”六個漢字。初行宝钞时,一石米值钞一贯。 《明会典》记载:“以桑穰为料,其制方,高一尺,广六寸,质青色,外为龙文花栏,横题其额曰‘大明通行寶鈔’,其内上两旁复为篆文八字,曰‘大明宝钞 天下通行’。中图钱贯,十串为壹贯,其下云‘中书省奏准印造大明宝钞与铜钱通行使用,伪造者斩,告捕者赏银二百五十两,仍给犯人财产。’若伍佰文,则画钱文为五串,余如其制,而递减之。其等凡六:曰一贯,曰五百文、四百文、三百文、二百文、一百文。每钞一贯,准钱千文,银一两;四贯准黄金一两。” 洪武二十二年(1389年)朝廷又发行小钞5种,即拾文、贰拾文、叁拾文、肆拾文、伍拾文,票面幅面较小。永樂以后印行宝钞仍用洪武年号,且禁止民间用黃金、白银买卖交易。 当时以桑皮纸印製,桑皮紙又叫漢皮紙,常用作典籍書册書頁之用,質地極其敦厚,洪武十三年(1380年)立倒钞法,允许以昏钞向国家换新钞,但要缴纳工本费。為解決寶鈔不斷貶值的問題,政府採取了多種途徑回籠寶鈔,比如採取“戶口食鹽法”或門攤稅等。宣德元年規定,“令各处赃罚俱折收钞,不分新旧昏软悉收。不愿纳钞者,听纳本色。”又令客商以金银交易,及藏匿货物、高增价值者,皆罚钞。但自宣德十年以後,政府就逐漸放棄回收寶鈔的政策,為鈔法而加征稅額也不斷減輕,寶鈔的貶值終究不可控制。此外,明代政府绝无近现代的存款準備金意识,只憑行政權力強行推動寶鈔,致使市场上流通的纸币越来越多,宝钞泛滥成灾,发行当年就通货膨胀,洪武二十二年前后,纸币時贬時升,江西、福建一带二贯纸钞只能换铜钱五百文。永乐二年(1404年),米一石一度值鈔一百貫,永乐五年米一石值钞三十贯。宣德初年,米价已达到宝钞伍拾贯,宣德七年(1432年),宝钞一贯只值铜钱5文。正統以後,正统九年(1444年),米价涨到宝钞一百贯,明鈔已不能通行,“积之市肆,过者不顾”。《玉鏡新譚》載明末的熹宗常以新鈔賞賜臣下。
xsd:nonNegativeInteger
19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