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http://dbpedia.org/resource/Awakening_of_Faith_in_the_Mahayana an entity of type: Thing
Das Erwachen des Glaubens im Mahayana (auch: Erwachen des Mahayana-Glaubens, rückübersetzter Name im Sanskrit: Mahāyāna śraddhotpādaśāstra; chinesisch 大乘起信論, Pinyin Dàshéng Qǐxìn Lùn; japanisch 大乗起信論 Daijōkishinron; koreanisch 대승기신론 Daeseung-gisinlon, vietn.: Đại thừa khởi tín luận, engl.: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ist ein Text des Mahayana-Buddhismus. Er wurde zwar dem Meister Ashvaghosha zugeschrieben, wird heute jedoch allgemein als Schöpfung des Buddhismus in China angesehen.
rdf:langString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reconstructed Sanskrit title: Mahāyāna śraddhotpādaśāstra; Chinese: 大乘起信論; pinyin: Dàshéng Qǐxìn Lùn; Japanese: 大乗起信論, Daijōkishinron; Korean: 대승기신론, Daeseung-gisinlon; Vietnamese: Đại thừa khởi tín luận) is a text of Mahayana Buddhism. Though attributed to the Indian master Aśvaghoṣa, no Sanskrit version of it exists and it is now widely regarded by scholars as a Chinese composition.
rdf:langString
『大乗起信論』(だいじょうきしんろん)は、大乗仏教に属する論書。二本の漢語本が現存し、著者が馬鳴(アシュヴァゴーシャ)に仮託されているが、中国で真諦周辺の人物に編まれたとされる。
rdf:langString
Il Dàshèngqǐxìnlùn (大乘起信論; in Wade-Giles Ta-sheng ch'i-hsin lun; in giapponese: Daijōkishinron; coreano: 대승기신론, Taesŭngkisillon; vietnamita: Đại thừa khởi tín luận; lett. "Trattato sul risveglio della fede secondo il Mahāyāna"; intenderebbe rendere un ricostruito sanscrito *Mahāyānaśraddhotpādaśāstra) è un trattato, apocrifo, buddhista cinese risalente nelle sue prime presunte traduzioni al VI secolo d.C. e attribuito ad Aśvaghoṣa.
rdf:langString
《大乘起信论》(回譯梵語:Mahāyāna śraddhotpāda śāstra),略称《起信论》,是大乘佛教的一部论书,法性宗的提綱挈領之作,相傳為馬鳴菩薩依據《楞伽經》所造,依據真諦三藏之弟子曹毘為其所作傳記,此論為真諦於太清四年(公元550年)譯。篇幅凡一卷,是自隋、唐起對漢傳佛教影响很大的一部论著。 自唐代開始,出現質疑,認為此論是在中國所寫作,非由馬鳴所造。學者望月信亨、梁啟超、歐陽竟無、呂澂等人皆主張此經是在中國創作。境野黃洋、宇井伯壽、湯用彤等人則主張是由印度傳入,在中國譯出。
rdf:langString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대승불교의 논서이다. 줄여서 《기신론(起信論)》이라고도 한다. "대승기신론"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대승(큰 수레) 또는 대승불교에 대한 믿음을 일으키는 또는 일으키기 위한 논서"이다. 대승기신론은 전통적으로 인도의 마명 보살(馬鳴菩薩, 아슈바고샤, Aśvaghoṣa: c. 100-160)이 기원후 2세기에 저술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 많은 학자들이 저자와 성립 시기에 대해 전통적인 견해와는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대승기신론은 산스크리트어 원본이나 티베트어 역본 없이 중국 양(梁)나라 진제(眞諦, Paramārtha: 499-569)와 당(唐)나라 실차난타(實叉難陀, Śikṣānanda: 652-710)의 2종의 한역본만 존재한다. 대승기신론이 인도에서 성립된 것인지에 대해서도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rdf:langString
rdf:langString
Erwachen des Glaubens im Mahayana
rdf:langString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rdf:langString
Dàshèngqǐxìnlùn
rdf:langString
대승기신론
rdf:langString
大乗起信論
rdf:langString
大乘起信论
xsd:integer
1443451
xsd:integer
1048233377
rdf:langString
大乘起信論
rdf:langString
大乗起信論, Daijōkishinron
rdf:langString
대승기신론, Daeseung-gisinlon
rdf:langString
Dàshéng Qǐxìn Lùn
rdf:langString
tǐyòng
rdf:langString
体用
rdf:langString
體用
rdf:langString
Đại thừa khởi tín luận
rdf:langString
Das Erwachen des Glaubens im Mahayana (auch: Erwachen des Mahayana-Glaubens, rückübersetzter Name im Sanskrit: Mahāyāna śraddhotpādaśāstra; chinesisch 大乘起信論, Pinyin Dàshéng Qǐxìn Lùn; japanisch 大乗起信論 Daijōkishinron; koreanisch 대승기신론 Daeseung-gisinlon, vietn.: Đại thừa khởi tín luận, engl.: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ist ein Text des Mahayana-Buddhismus. Er wurde zwar dem Meister Ashvaghosha zugeschrieben, wird heute jedoch allgemein als Schöpfung des Buddhismus in China angesehen.
rdf:langString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reconstructed Sanskrit title: Mahāyāna śraddhotpādaśāstra; Chinese: 大乘起信論; pinyin: Dàshéng Qǐxìn Lùn; Japanese: 大乗起信論, Daijōkishinron; Korean: 대승기신론, Daeseung-gisinlon; Vietnamese: Đại thừa khởi tín luận) is a text of Mahayana Buddhism. Though attributed to the Indian master Aśvaghoṣa, no Sanskrit version of it exists and it is now widely regarded by scholars as a Chinese composition.
rdf:langString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대승불교의 논서이다. 줄여서 《기신론(起信論)》이라고도 한다. "대승기신론"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대승(큰 수레) 또는 대승불교에 대한 믿음을 일으키는 또는 일으키기 위한 논서"이다. 대승기신론은 전통적으로 인도의 마명 보살(馬鳴菩薩, 아슈바고샤, Aśvaghoṣa: c. 100-160)이 기원후 2세기에 저술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 많은 학자들이 저자와 성립 시기에 대해 전통적인 견해와는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대승기신론은 산스크리트어 원본이나 티베트어 역본 없이 중국 양(梁)나라 진제(眞諦, Paramārtha: 499-569)와 당(唐)나라 실차난타(實叉難陀, Śikṣānanda: 652-710)의 2종의 한역본만 존재한다. 대승기신론이 인도에서 성립된 것인지에 대해서도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대승기신론은 크게 서분(序分) · 정종분(正宗分) · 유통분(流通分)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논의 본문인 정종분은 다시 인연분(因緣分) · 입의분(立義分) · 해석분(解釋分) ·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 ·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의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은 (一心 · One Mind) · (二門 · Two Aspects) · 삼대(三大 · ThreeGreatnesses) · (四信 · Four Faiths) · (五行 · Five Practices)으로 요약된다. 대승기신론은 이론과 실천 양면에 있어서 여러 교리사상을 받아들여 작은 책 속에 대승불교의 진수를 요약해 놓은 것으로서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중국 · 한국 · 일본을 비롯한 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rdf:langString
『大乗起信論』(だいじょうきしんろん)は、大乗仏教に属する論書。二本の漢語本が現存し、著者が馬鳴(アシュヴァゴーシャ)に仮託されているが、中国で真諦周辺の人物に編まれたとされる。
rdf:langString
Il Dàshèngqǐxìnlùn (大乘起信論; in Wade-Giles Ta-sheng ch'i-hsin lun; in giapponese: Daijōkishinron; coreano: 대승기신론, Taesŭngkisillon; vietnamita: Đại thừa khởi tín luận; lett. "Trattato sul risveglio della fede secondo il Mahāyāna"; intenderebbe rendere un ricostruito sanscrito *Mahāyānaśraddhotpādaśāstra) è un trattato, apocrifo, buddhista cinese risalente nelle sue prime presunte traduzioni al VI secolo d.C. e attribuito ad Aśvaghoṣa.
rdf:langString
《大乘起信论》(回譯梵語:Mahāyāna śraddhotpāda śāstra),略称《起信论》,是大乘佛教的一部论书,法性宗的提綱挈領之作,相傳為馬鳴菩薩依據《楞伽經》所造,依據真諦三藏之弟子曹毘為其所作傳記,此論為真諦於太清四年(公元550年)譯。篇幅凡一卷,是自隋、唐起對漢傳佛教影响很大的一部论著。 自唐代開始,出現質疑,認為此論是在中國所寫作,非由馬鳴所造。學者望月信亨、梁啟超、歐陽竟無、呂澂等人皆主張此經是在中國創作。境野黃洋、宇井伯壽、湯用彤等人則主張是由印度傳入,在中國譯出。
xsd:nonNegativeInteger
17229